| 전체 | 봄(3월 ~5월) |
여름(6월 ~8월) |
가을(9월 ~11월) |
| 겨울(12월 ~2월) |
제철없음 |
방곡도예촌
방곡도예촌은 17C 경부터 백자와 분청자기를 생산한 조선시대 민수...
충북 단양군
아위버섯/상황버섯
뜰아채 농업회사에 신품종으로 육성 재배하고 있는 아위버섯은 단맛이...
충남 천안시
건어포류
청정해역 한려수도 삼천포의 대표적인 건어포는 쥐포, 오징어포, 명...
경남 사천시
감물염색
청도 감은 수분 함량이 많고 씨가 없어 염색 재료로 아주 적합하다...
경북 청도군
오색한과
한과는 찹쌀가루, 과일, 엿, 계피, 꿀 등과 같은 고유한 재료를...
강원 양양군
안동 한우
맑고 깨끗한 천혜의 자연 환경에서 독특한 사육방법으로 키운 안동 ...
경북 안동시
망개떡은 예부터 의령지역에서 만들어 먹던 떡으로. 청미래 잎의 상큼한 향이 특징이다. 망개떡이라는 이름은 청미래 나무를 일컫는 경상도 방언인 망개나무에서 유래하였다. 의령자굴산 골짝쌀을 주 재료로 하여 손수 만들고 있는 망개떡은 한여름(6∼8월)의 신선한 망개잎을 따서 팥을 충분히 달여 맵쌀로 빚은 떡에 팥소를 넣으며 방부제 등의 첨가물을 전혀 쓰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전통적인 떡 맛이 일품이다. 망개떡은 떡 제조 후 10시간쯤에 먹는 것이 쫄깃하고 팥의 단맛이 감칠맛을 더한다. 팥을 넣은 떡이 모양은 송편과 비슷하지만 망개잎을 싼 망개떡은 망개잎의 독특한 향내가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입안에 살살 녹는 맛을 잊지 못한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