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효문화뿌리축제는 중구를 대표하는 축제이다. 이 축제는 3대 가족이 어우러져 자신의 뿌리를 알아보고 효를 느껴볼 수 있도록 꾸며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문중·문화·전통의 산실을 되짚고 우리 민족의 자존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은 굳이 축제가 아니더라도, 보문산 전망대나 뿌리공원, 신채호 생가 등을 명소를 둘러보는 여행을 통해 충분히 가능하다.
서울 백악의 동쪽 골짜기에서 시작돼 삼선교, 돈암동을 거쳐 청계천으로 접어드는 길이다. 삼청각 뒤편에 자리한 홍련사라는 절집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백악의 남동쪽 골짜기를 따라 내리 달리다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명수학교 근처에서 물길 흐름을 더 이상 잇지 못하고 아스팔트 속으로 자취를 감춘다.
서울 백악의 동쪽 골짜기에서 시작돼 삼선교, 돈암동을 거쳐 청계천으로 접어드는 길이다. 삼청각 뒤편에 자리한 홍련사라는 절집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백악의 남동쪽 골짜기를 따라 내리 달리다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명수학교 근처에서 물길 흐름을 더 이상 잇지 못하고 아스팔트 속으로 자취를 감춘다.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3가 80-3
연락처02-920-3114(성북구청)
만여 평의 대지위에 대가람의 규모를 갖추고 있는 보문사는 비구니들이 거처하는 조용한 암자다. 고려 예종 10년(1115)에 혜조국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승됐다. 조선 후기 숙종 18년 (1692)에 묘첨 스님이 대웅전을 중건했고, 영조 33년 (1757)에 보찬, 유봉 스님이 대웅전을 수축했다.
만여 평의 대지위에 대가람의 규모를 갖추고 있는 보문사는 비구니들이 거처하는 조용한 암자다. 고려 예종 10년(1115)에 혜조국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승됐다. 조선 후기 숙종 18년 (1692)에 묘첨 스님이 대웅전을 중건했고, 영조 33년 (1757)에 보찬, 유봉 스님이 대웅전을 수축했다.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보문동 3가 168
연락처02-920-3413
보타사에는 큰 바위면에 거대하게 부조한 불상인 보타사 마애불이 있다. 바위면의 굴곡을 이용한 독특한 형식의 마애보살상이다. 머리부분은 돌출한 암면에 새겨 앞으로 약간 숙이게 했으며, 신체는 비스듬하게 표현하고 있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좌우로 깃 같은 표현이 있어서 조선시대 보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보타사에는 큰 바위면에 거대하게 부조한 불상인 보타사 마애불이 있다. 바위면의 굴곡을 이용한 독특한 형식의 마애보살상이다. 머리부분은 돌출한 암면에 새겨 앞으로 약간 숙이게 했으며, 신체는 비스듬하게 표현하고 있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좌우로 깃 같은 표현이 있어서 조선시대 보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7
연락처02-923-4067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