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1994년에 영등포구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금천구는 여러 가지 문화유적들을 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산중에 자리하고 있는 고즈넉한 절, 호압사에서부터 순흥안씨양도공파묘군을 돌아보는 코스는 금천구의 옛 문화를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총거리
2.91 km
동궁은 문무왕 14년에 창건된 전궁이며 당나라 대명궁의 태액지나 백제 궁남지의 조경 기술을 본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월지는 신라시대에 붙은 이름이며 많은 이들이 알고 있는 안압지는 조선시대에 묵객들이 붙인 이름이다. 월지 안에서는 3만여 점이 넘는 유물이 출토되기도 했다.
동궁은 문무왕 14년에 창건된 전궁이며 당나라 대명궁의 태액지나 백제 궁남지의 조경 기술을 본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월지는 신라시대에 붙은 이름이며 많은 이들이 알고 있는 안압지는 조선시대에 묵객들이 붙인 이름이다. 월지 안에서는 3만여 점이 넘는 유물이 출토되기도 했다.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연락처054-772-4041
첨성대의 정의는 별을 보기 위하여 높이 쌓은 대라는 의미로 각 시대별로 첨성대가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첨성대가 경주에 있는 신라시대의 첨성대로서 선덕여왕 때에 축조된 것으로 상방하원(上方下圓:위는 네모지고 아래는 둥근 모양)이다.
첨성대의 정의는 별을 보기 위하여 높이 쌓은 대라는 의미로 각 시대별로 첨성대가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첨성대가 경주에 있는 신라시대의 첨성대로서 선덕여왕 때에 축조된 것으로 상방하원(上方下圓:위는 네모지고 아래는 둥근 모양)이다.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839-1
연락처054-779-8585
느티나무가 우거진 반월성의 옛 터를 가보면 신라 시조 박 씨, 석 씨, 김 씨 중에서 김알지의 탄생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설화에서 나오는 흰 닭의 울음소리가 알려준 금궤 속의 아이가 바로 경주 김씨의 시조이자 신라 13대왕 미추왕이다.
느티나무가 우거진 반월성의 옛 터를 가보면 신라 시조 박 씨, 석 씨, 김 씨 중에서 김알지의 탄생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설화에서 나오는 흰 닭의 울음소리가 알려준 금궤 속의 아이가 바로 경주 김씨의 시조이자 신라 13대왕 미추왕이다.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구화산길 329
연락처054-779-8743
신라 17대왕의 내물왕의 능으로 사적 제188호로 지정되었다. 내물왕릉은 계림 내에 있으며 돌무지덧널무덤 양식으로 경주 평지에 큰 규모로 축조되었다는 점과 박, 석, 김 시조 왕의 오릉에 내물왕릉도 포함된다고 전승되기 때문에 내물왕릉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라 17대왕의 내물왕의 능으로 사적 제188호로 지정되었다. 내물왕릉은 계림 내에 있으며 돌무지덧널무덤 양식으로 경주 평지에 큰 규모로 축조되었다는 점과 박, 석, 김 시조 왕의 오릉에 내물왕릉도 포함된다고 전승되기 때문에 내물왕릉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구화산길 329
연락처054-779-8743
신라 시대 한반도 최초의 국립대학인 국학이 세워진 이후, 고려 시대 향학, 조선 시대 향교로 이어져 왔기 때문에 마을을 교동, 교리, 교촌이라고 불렀다. 마을 주변에는 첨성대, 월성 등 신라 유적이 고루 분포해 있어 신라 문화 속 옛 모습을 간직한 조선 문화 마을이라는 게 특이하다.
신라 시대 한반도 최초의 국립대학인 국학이 세워진 이후, 고려 시대 향학, 조선 시대 향교로 이어져 왔기 때문에 마을을 교동, 교리, 교촌이라고 불렀다. 마을 주변에는 첨성대, 월성 등 신라 유적이 고루 분포해 있어 신라 문화 속 옛 모습을 간직한 조선 문화 마을이라는 게 특이하다.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연락처054-779-6142
원효대사가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주리요? 내가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만들겠노라’고 부르는 노래의 의미를 파악한 무열왕은 원효대사를 궁으로 불렀다. 두 번째 만에 원효대사는 월정교를 건너 요석궁으로 건너가 요석공주와 사랑을 나눠 설총이 탄생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원효대사가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주리요? 내가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만들겠노라’고 부르는 노래의 의미를 파악한 무열왕은 원효대사를 궁으로 불렀다. 두 번째 만에 원효대사는 월정교를 건너 요석궁으로 건너가 요석공주와 사랑을 나눠 설총이 탄생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연락처054-779-8585(경주시청)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